조선왕 순서 및 주요 업적
순서 : 1.태조 - 2.정조 - 3.태종 - 4.세종 - 5.문종 - 6.단종 - 7.세조 - 8.예종 - 9.성종 - 10.연산군 - 11.중종 - 12.인종 - 13. 명종 - 14.선조 - 15.광해군 - 16.인조 - 17.효종 - 18.현종 - 19.숙종 - 20.경종 - 21.영조 - 22.정조 - 23.순조 - 24. 헌종 - 25.철종 - 26.고종 - 27.순종
1. 태조(1392~1398)
- 본명(이성계), 고려 말 신흥무인세력 출신
- 조선 건국
- 재상중심정치 주도(cf.정도전)
2. 정조(1398~1400)
- 본명(이방과), 태조의 둘째 아들
- 2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의 정권장악
3. 태종(1400~1418)
- 본명(이방원), 태조의 5번째 아들
- 6조 직계제 실시(왕권강화 추구)
- 호패법 실시, 신문고 설치, 서얼 금고법 실시
- 주자소 설치, 농서집요 편찬
4. 세종(1418~1450)
- 본명(이도)
- 의정부 서사제 실시(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)
- 집현전 설치, 경연 실시
- 훈민정음 창제
- 공법 실시(cf.연분9등법, 전분6등법)
- 4군 6진 설치(+영토확장)
- 대마도 정벌과 삼포개항
- 삼강행실도 편찬, 천문관측(혼천의, 간의, 앙부익구, 측우기 발명), 역법(칠정산 편찬), 농법(농사직설 편찬), 의학(향약집성방 편찬)
5. 문종(1450~1452)
- 본명(이향)
- 재상 중심 정치(cf.김종서)
6. 단종(1452~1455)
- 본명(이홍희)
-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의 정권장악
7. 세조(1455~1468)
- 본명(이유), 세종의 둘째 아들
- 6조 직계제 실시(왕권강화 추구)
- 집현전과 경연 폐지
- 보법과 진관체제 실시
- 직전법 실시
8. 예종(1468~1469)
- 본명(이황), 세조의 둘째 아들
- 원상제 실시(cf.한명회, 신숙주)
9. 성종(1469~1494)
- 본명(이혈)
- 경국대전 완성(조선의 법체제 완비)
- 사림을 3사 직책으로 등용(for.훈구세력 견제)
- 홍문관 설치
- 관수관급제 실시
- 해동제국기, 금양잡록, 악학궤범, 국조오례의 편찬
10. 연산군(1494~1506)
- 본명(이용)
- 사화 발생(무오사화, 갑자사화)
- 향락과 재정 낭비
11. 중종(1506~1544)
- 본명(이역)
-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몰아내고 등극
- 조광조 등 사림 등용(for.훈구세력 견제)
- 사화 발생(기묘사화)
- 삼포왜란 발발
12. 인종(1544~1545)
- 본명(이호), 중종의 첫째 아들
13. 명종(1545~1567)
- 본명(이환), 중종의 둘째 아들
- 사화 발생(을사사화)
- 직전법 중단(녹방만 지급)
- 문정왕후의 권력강화
- 을묘왜변 발발
14. 선조(1567~1608)
- 본명(이균), 중종의 손자
- 사림의 분화와 붕당의 형성(cf.동인-서인 / 북인-남인)
- 임진왜란 발발
- 성합십도, 성학집요 편찬
15. 광해군(1608~1623)
- 본명(이혼), 선조의 둘째 아들
- 중립외교 정책(cf.명과 후금사이)
- 기유약조(cf.에도막부와 국교 재개)
- 대동법 실시(cf.경기 지역으로 확대)
- 동의보감 편찬
16. 인조(1623~1649)
- 본명(이홍)
-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등극(by.서인)
- 친명배금 정책으로 병자호란 발발
17. 효종(1649~1659)
- 본명(이호), 인조의 둘째 아들
- 북벌운동(cf.송시열)
- 시헌력 채택(cf.청나라 역법)
18. 현종(1659~1674)
- 본명(이연)
- 예송논쟁(by.서인vs남인)
- 경신 대기근 발생
19. 숙종(1674~1720)
- 본명(이순)
- 환국 단행(붕당의 변질 + 왕권 강화)
- 북벌운동(cf.윤휴)
- 상평통보 주조
- 백두산정계비 건립
- 안용복의 독도 수호
20. 경종(1720~1724)
- 본명(이윤), 숙종과 장희빈의 아들
21. 영조(1724~1776)
- 본명(이금)
- 탕평책 실시(완론탕평)
- 균역법 실시(cf.군포 감면 but 근본해결책x)
- 청계천 준공, 노비종모법 시행
- 임오화변(cf.사도세자의 죽음)
22. 정조(1776~1800)
- 본명(이산), 영조의 손자, 사도세자의 아들
- 탕평책 실시(준론탕평)
- 규장각 설치 및 초계문신제 실시
- 장용영 설치
- 수원화성 건립
- 오륜행실도 편찬
23. 순조(1800~1834) - 세도정치 시기
- 본명(이공), 정조의 둘째
- 세도정치 시기(cf.정순왕후)
- 공노비 해방
- 홍경래의 난 발발
24. 헌종(1834~1849) - 세도정치 시기
- 본명(이공), 순조의 손자
- 세도정치 시기(cf.순원왕후, 안동김씨)
25. 철종(1849~1863) - 세도정치 시기
- 본명(이변)
- 세도정치 시기(cf.순원왕후, 안동김씨)
- 임술농민봉기 발발
26. 고종(1863~1907) -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
- 본명(이재황), 흥선대원군의 둘째
- 흥선대원군의 섭정(cf.양전사업, 호포법, 양전사업, 경복궁 중건, 통상수교거부정책)
- 병인박해와 병인박해 발발(cf.프랑스)
- 제너럴셔먼호 사건과 신미양요 발발(cf.미국)
- 강화도 조약(cf.일본 / 최초의 근대적 조약)
- 조미수호통상조약(cf. 미국 / 서양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)
- 임오군란 발발(by.구식군인 + 하층민)
- 갑신정변 발발(by.급진개화파)
- 동학농민운동 발발(by.동학도 + 농민)
- 청일전쟁 발발(cf.일본 승리)
- 갑오 1,2차 개혁(cf.6조를 8아문에서 7부로 개편, 과거제 폐지, 신분제 폐지)
- 을미사변과 을미개혁(cf.단발령, 태양력, 종두법 실시)
- 아관파천(in.러시아 공사관)
- 대한제국 수립(cf.광무개혁 실시)
- 러일전쟁(cf.일본 승리)
- 한일의정서
- 제 1차 한일협약(고문정치)
- 제 2차 한일협약(을사조약-통감정치)과 을사의병
- 헤이그특사 파견과 고종의 강제 퇴위
- 정미조약과 정미의병
27. 순종(1907~1910) - 대한제국 시기
- 본명(이척),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
- 한일병합조약(cf.일제감정기 시작)